논문을 정리하다 보면 정말 많은 수식이 등장하는데, 이를 블로그에 적기 위해서 정리해봤다. 사실 이는 R Markdown이라고 하는 문법으로 가능한건데, 궁금한 사람은 여기로 가서 확인해보도록 하자.
R Markdown
© Copyright 2016 - 2020 RStudio, PBC
rmarkdown.rstudio.com
원리는 어찌됐든, 일단 생각보다 정말 간단하게 티스토리에서 사용할 수 있다.
1. 일단 티스토리에 수식이 동작하게 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블로그관리 홈에서 스킨편집으로 들어간다. 보통 블로그 관리 홈은 https://여러분의티스토리주소.tistory.com/manage로 가면 갈 수 있다. 필자의 경우는 https://minsuksung-ai.tistory.com/manage로 가면 블로그관리 홈으로 갈 수 있다.

2. 여기로 왔으면 아래 스크립트를 복사한다.
<script>
(function () {
var script = document.createElement("script");
script.type = "text/javascript";
script.src = "https://mathjax.rstudio.com/latest/MathJax.js?config=TeX-AMS-MML_HTMLorMML";
document.getElementsByTagName("head")[0].appendChild(script);
})();
</script>
추가로 인라인 수식을 입력하고 싶다면 아래의 코드를 복사해도 된다.
<script type="text/x-mathjax-config">
MathJax.Hub.Config({ tex2jax: {
inlineMath: [ ['$','$'], ["\\(","\\)"] ],
processEscapes: true
}
});
</script>
<script src='https://cdnjs.cloudflare.com/ajax/libs/mathjax/2.7.2/MathJax.js?config=TeX-MML-AM_CHTML'>
</script>
3. 그리고 스킨 편집에서 html 편집을 누른다.

4. 그리고 적당히 복사한 코드를 붙여넣고 적용을 누르면 이제 티스토리에서 수식을 사용할 수 있는 준비는 끝이다.

그럼 한번 수식을 적어보자. 마크다운으로 수식을 적는건 기준 R 마크다운 형식과 동일하다.
$$ax^2+bx+c = 0$$
$$ax^2+bx+c = 0$$
위 식보다 조금 복잡한 근의 공식과 같은 형태도 가능하다.
$$ x = \frac{-b \pm \sqrt{b^2 -4ac} }{2a} $$
R Markdown이 불편한 사람들은 여기를 통해서 쉽게 Mathjax를 작성할 수 있다. 필자가 정말 애용하는 사이트인데, 마크다운을 다 못 외우기 때문에 이용을 많이 한다. 사실 분수나 적분과 같은 표기는 외웠는데 위의 근의 공식처럼 플러스/마이너스(\pm\)과 같은 표기는 외우는게 불가능해서 많이 이용한다.
https://www.codecogs.com/latex/eqneditor.php
Online LaTeX Equation Editor - create, integrate and download
Type your equation in this box
www.codecogs.com
혹은 아래 사이트는 이러한 것들은 문서화해둔 사이트인데, 여기에서 어지간하면 다 찾을 것 같다.
http://www.onemathematicalcat.org/MathJaxDocumentation/MathJaxKorean/TeXSyntax_ko.html
MathJax에서 유용한 TeX 명령어
\small 작은 크기 활성화; 모든 수식에 영향을 준다. class ORD {\small ... } 보기: \rm\tiny tiny \Tiny Tiny \small small \normalsize normal \large lg \Large Lg \LARGE LG \huge hg \Huge Hg 결과 $ \rm\tiny tiny \Tiny Tiny \small small \n
www.onemathematicalcat.org